본문 바로가기
고전문학

지고 말 것을 줄거리 및 독후감<책>(가와바타 야스나리)

by 비츠로K 2023. 12. 18.

책을 시작하며

 

지고 말 것을 (The Catcher in the Rye)은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소설로, 청소년인 홀덴 콜필드의 내면 여정을 그린 작품입니다. 이 책은 성장과 아이덴티티 탐구, 사회의 가치에 대한 의문 등을 담고 있으며, 청소년의 복잡한 내면을 솔직하게 묘사하여 독자들에게 공감과 여운을 전합니다.

 

지고 말 것을
지고 말 것을

 

저자, 시대적 배경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일본의 소설가로, 20세기 중반 미국의 사회적 변화와 청소년들의 내면 갈등을 다룬 작품으로 유명합니다. 지고 말 것을 (The Catcher in the Rye)은 1951년에 출간된 이 소설은 주인공 홀덴 콜필드의 내면을 통해 사회적 이변과 청소년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탐구합니다. 이 책은 당시 미국의 전쟁 후 기간에 출간되어 청소년들의 고민과 불안, 사회적 편견과 가치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자아 탐구와 성장에 대한 이야기를 전합니다. 이 소설은 당시의 시대적 변화와 문화적 풍경을 반영하며, 아직까지도 많은 독자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줄거리

 

지고 말 것을 (The Catcher in the Rye)는 홀덴 콜필드라는 16세 소년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홀덴은 고등학교에서 쫓겨난 후, 몇 일 동안의 여정을 담아내며 자신의 내면과 사회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됩니다.

이야기는 홀덴이 집을 떠나 호텔에 머물며 삶의 무료함과 저항감을 느끼면서 시작됩니다. 홀덴은 뉴욕 시내를 돌아다니면서 사람들과 만나며, 자신만의 철학과 세계관을 드러내며 이상주의적인 성향을 보입니다.

그는 친구, 스트래드레터와의 만남과 캐치올리니라는 개념에 대해 고민합니다. 캐치올리니란 책에서 등장하는 홀덴의 이상적인 역할로, 어린이들이 위험을 피해주는 사람이며 순수함을 보호해주는 존재입니다.

화려한 나이트클럽에서의 경험, 유령같은 현실과의 마주침, 그리고 성장과 관련된 고민들은 홀덴의 내면을 탐구합니다. 이 모든 경험들은 홀덴의 청소년기의 고민과 현실에서의 분노, 무력함, 고독감 등을 담고 있습니다.

중요한 순간 중 하나는 그의 여동생, 필립스와의 만남입니다. 필립스는 홀덴에게 자신의 순수함을 상기시켜주며, 그의 내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킵니다.

그러나 홀덴은 여전히 현실에 대한 불만과 사회에 대한 비판을 내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그의 이야기는 점차 그의 마음속의 불안과 고뇌, 그리고 자신을 수용하고 이해하는 과정으로 이어집니다.

소설은 홀덴의 내면 성장과 고민, 청소년의 혼란과 사회적 불만을 담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독자들에게 성장과 자아 탐구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결말

 

지고 말 것을 (The Catcher in the Rye)의 결말에서, 홀덴은 그의 여동생 필립스를 다시 찾아가며 변화를 겪게 됩니다. 필립스와 함께하는 순간들을 통해 홀덴은 자신의 내면에서 변화를 느끼고, 그의 마음속에 희망과 새로운 시작을 찾아냅니다.

필립스와의 이야기를 통해 홀덴은 자신의 책임감과 보호본능을 깨닫게 되는데, 그녀의 순수함과 선량함은 홀덴의 내면에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킵니다. 홀덴은 필립스를 보호하고 세상의 부조리로부터 지키고 싶어합니다.

이런 변화와 깨달음을 통해 홀덴은 과거의 무력함과 분노를 벗어나고, 삶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찾아가며 청소년기의 고뇌와 성장을 표현합니다. 결말에서는 홀덴이 자신의 내면에서의 변화와 새로운 시작을 향해 걸어나가고, 독자들에게 희망과 성장의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느낀점

지고 말 것을 (The Catcher in the Rye)를 읽으면서 다가온 가장 큰 감정은 공감과 고독한 무력감이었습니다. 홀덴 콜필드의 내면에서 나오는 분노와 불안, 현실과의 충돌을 통해 그의 내면 고뇌와 이해하기 어려운 어른들의 세상에 대한 저항을 느꼈습니다. 그는 삶의 부조리와 무력함, 소외감을 향한 끊임없는 고민으로 고통받고 있었습니다.

홀덴은 현실에 대한 분노와 비판적인 시각으로 주변을 바라보면서 동시에 자신의 내면에서는 존중과 이해를 원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어른들의 가치관과 세계에 대한 무관심함에 대한 그의 분노와, 그 속에서 느껴지는 외로움과 이해받지 못하는 느낌이 독자에게 강한 공감과 공감대를 형성했습니다. 홀덴의 내면 고뇌는 젊은이의 현실과 사회적 불안, 그리고 성장과정에서의 고통에 대해 생각하게 만들었고, 그의 내면에서 드러나는 취약성은 독자들에게 미래에 대한 불안과 삶의 의미를 고민하게 만들었습니다.

 

 

이상으로 지고 말 것을 였습니다. 많은 감동받으세요.

댓글